-
일반
좋은 문장 표현에서 문 이수연마리북스 802.041-이수연좋 일상이나 일터에서 내 생각을 표현하는 글쓰기는 자주 만나게 된다. 그런데도 여전히 글쓰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독자들에게 저자가 그 해결책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는 책이다.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와 찾아가는 국어문화학교 강사로 강의하면서 받았던 질문들을 엄선했다. 제일 헷갈리고 궁금하게 여기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독자들의 언어생활에 실천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았다.
-
일반
언어의 높이뛰기 : 신 신지영인플루엔셜 802-신지영언=2 우리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언어표현 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그 의미와 속뜻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내는 책이다. 시대에 맞지 않은 불평등한 가족 호칭어나 성차별적 지칭어는 우리가 지향하는 가치와 사고 달라진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 차별과 편견의 언어로 안일하게 써온 말들을 10가지 주제로 설명하고 변화의 구체적 방향을 제시한다.
-
일반
미끄러지는 말들 : 사 백승주 타인의사유 701.03-백승주미=3 구역, 지역방언, 신조어 등 우리에게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낯선 ‘외계인’의 눈으로 바라본 것처럼 언어를 탐구한 책이다. 이런 언어들을 발견하고 수많은 꼬리를 무는 질문들을 통해 그 탐구를 풀어내었다. 성별, 연령, 계층, 국가도 모두 다른 다양한 언어 사용자와 이들이 모여 살아가는 사회를 둘러싼 관계를 섬세하게 들여다보는 책이다.
-
일반
일곱 해의 마지막 김연수문학동네 813.7-김연수일 시인으로 이름을 알린 ‘백석’을 모델로 한 소설이다. 한국전쟁 후 북에서 당의 이념에 맞는 시를 쓰라고 요구받으며 러시아문학을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한 시인의 이야기를 통해 청춘, 사랑, 역사, 개인이라는 키워드를 모두 아울러 담았다. 1958년 여름, 번역실에 출근한 기행이 러시아어로 쓰인 시 두 편이 담긴 봉투를 받으며 이야기가 시작된다.
-
일반
우리말 어감사전 안상순유유 717-안상순우 검증된 객관적 의미만을 간결하게 수록하는 사전에서는 쉽게 드러나기가 어려웠던 우리말의 속뜻을 담았다. 사람들이 흔히 쓰는 뜻과 쓰임에 공통점이 있는 낱말들을 찾아 모으고 속뜻을 궁리해서 어감의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을 보여준다. 언어의 무의식에 내면화된 쓰임이 다른 지점에 대한 명쾌한 담을 보여주는 책이다.
-
일반
우리말의 탄생 : 최초 최경봉책과함께 713.09-최경봉우1 우리말 사전(조선말큰사전)이 만들어지기까지 50년 동안의 길고 험난했던 전 과정을 집중 조명한 책이다. 일제 강점기부터 해방 직후까지 우리말 사전 편찬에 온 인생을 걸었던 인물들의 좌절, 고통, 완성의 기쁨을 담았다. 우리 역사에서 우리말 사전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
일반
언어라는 세계 : 우리 석주연곰출판 청 701.013-석주연언 너무 익숙해져서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내뱉고, 그 언어들에 의해 규정되는 생각들에 무감각해진 독자들에게 우리의 언어를 찬찬히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타인의 시각으로 들여다봤을 때 선명하게 드러나는 과거의 언어부터 이주민의 언어, 인공지능과의 대화까지 우리도 몰랐던 우리말 이야기를 담았다.
-
일반
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 김정선유유 802.041-김정선내 내가 쓰고도 긴가민가 하는 글쓰는 사람들에게 20년간 단행본 교정, 교열 작업을 해온 저자가 어색한 문장을 보기 좋은 문장으로 바꾸는 비결을 소개한다. 저자가 원고를 다듬으면서 공통으로 발견했던 어색한 문장의 전형과 문장을 이상하게 만드는 요소를 추려 뽑고, 어떻게 다듬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
일반
킹세종 조 메노스키아트프레임스토리 843.6-메노스킹 미국 드라마 ‘스타트렉’의 작가가 세종대왕에 대해 공부하며 알아간 내용을 바탕으로 외국인의 시선에서 세종대왕에 관한 이야기를 쓴 소설이다. 세계 최초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작가가 한국인이 사랑하는 우리 영웅의 모습을 소설로 담았다.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작가의 상상력을 더해 세종을 단순한 왕이 아닌 시대를 초월한 인물로 그려냈다.
-
일반
다정한 맞춤법 김주절 리듬앤북스 802-김주절다 모양이나 소리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단어를 비롯하여 비슷한 점이 없지만 습관처럼 틀리게 쓰는 단어를 처음부터 정리해 담았다. 장황하고 어려운 설명을 걷어내고 쉽게 읽히면서 오래 기억에 남을 만한 이야기들로 채웠다. 중간중간에 수록한 문제와 시험으로 직접 확인할 수도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