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 통지 없이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글쓰기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게시되는 글의 본문이나 첨부파일에 자신 혹은 타인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휴대폰번호, 주소, 은행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 특정개인 및 단체(특정종교 포함) 등에 대한 비방, 욕설·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홍보·선전·광고 등 상업적인 게시, 근거 없는 유언비어·선동적인 내용, 국가안전이나 보안에 위배되는 내용· 유사·동일한 내용을 반복적으로 게시한 경우, 해당 게시판 설정취지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등
- 2526 시민 영화 학교 Cinementory 54편의 영화 프로그램에 관심있는 여러분을 모집합니다
-
작성자방은비 작성일2025.07.01 20:22 IP*.*.*.182조회수8
2526 시민 영화 학교 Cinementory 54편의 영화 프로그램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영화감독과 함께 떠나는 커피 한잔의 영화 인문학, 입문학
2526 시민 영화 학교 Cine-mentory 54편의 영화 프로그램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김정욱 강사 약력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
한림성심대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
백석예술대학교 연기예술과 겸임교수
2004~2024 강원대, 한림성심대, 두원공대, 동양대, 동아방송대, 동서울대, 백석예대 출강
인천, 강원 시청자 미디어센터 / 고양, 의정부, 춘천MBC 미디어센터 강사
춘천 소양/ 전주 인후/ 서산 시립/ 강남 도서관 외 다수 출강
주력강의 : 영화분석과 단편영화워크숍
춘천 KBS,MBC,CBS, 울산KBS, 원주MBC 라디오 영화소개
필모그래피
03년 <8월의 일요일들> 황대희, 윤수지, 박동승 주연
부천국제영화제 판타스틱 걸작선
피쉬아이 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인디포럼, 서울기독교, 제주트멍 영화제
한국영상자료원
08년 <비만가족> 한경희, 곽도원, 엄보용 주연
부천국제영화제 판타스틱 걸작선
대한민국영상대상 장려상
일본 도쿄 SHORT SHORTS, 대구단편, 마산코미디 영화제
KBS 독립영화관, 한국영상자료원
21년 <귀여운 남자> 극한직업 이병헌 각본 신민재 이진리 주연
캐나다 국제 코미디 영화제 외국어 영화상
더블린 국제 코미디 영화제 외국어 영화상
NYTVFF 뉴욕 벤쳐 필름 페스티발 최우수 제작상
22년 <사잇소리> 류화영 박진우 주연
NYTVFF 뉴욕 벤쳐 필름 페스티발 여우주연상
커뮤니티 : 네이버 밴드 <시민영화학교 Cine-mentory>
네이버 밴드에서 시민영화학교를 검색 가입 or https://band.us/@cinementory 복사클릭하세요.
기간 : 2025년 7월 19일 ~ 2026년 7월 25일
시간 : 매주 토요일 AM10시~11시 30분
본 강의 미참시 강의 종료 후 비공개 유튜브 링크를 통해(개별 비번 전송) 강의 영상을 제공합니다.
방식 : ZOOM 링크 공유를 통한 온라인 ZOOM 강의
구성 : 본강의 1시간 30분 + 질의 문답 5분~10분 (자율참여)
강의 구성
■ 오프닝 -10분 (작품개요, 감독, 선정 이유 및 시대적·문화적 맥락, 평론 등)
■ 영화 본론 분석 및 해설 -1시간 10분
■ 영화의 이해 –7분 참고 서적 “영화의 이해(루이스 자네티 저)”
미장센, 촬영, 편집 등 영화의 핵심 개념을 장면과 함께 쉽게 풀어보는 이해의 시간!
■ 영화 사전 Cine-mentory –2분
2분으로 정리하는 영화 인문학 – 용어, 사조, 미학 개념을 쉽고 간결하게
영화와 관계된 용어정리, 미학용어, 사조, 운동, 영화사, 예술 이야기 등을 정리하는 순서
■ 마무리 정리 1분
■ (자율 참여) 질의 문답 5분~10분
문의 : anema@hanmail.net , 010-7631-1895
참가비 : 회당 5,000원 이상 자율 (후원), 월간, 6개월, 년간 결제 중 선택
계좌 : 시민영화학교 (강의 전 밴드를 통해 공지됩니다)
※ 소중한 참가 비용은 줌 결제, 프로그램 구입 및 제작, 강의 연구에 쓰입니다.
결제 후 입금자명과 함께 문자 주시면 줌 링크를 전달해 드립니다.
결제는 강의 진행을 위해 전날까지 부탁드립니다.
<일간 회당 결제> 회당 5000원 이상 자율 (후원계좌)
<월간 결제>
월 4~5편으로 페키지 결제 (10% 할인가격으로 결제)
-선택하신 2526 시민영화학교 프린트용 강의 노트 PDF 제공 (강의 종료 후)
<6개월 결제>
12개월 강의 중 6개월의 강의를 선택, 월별 교차가능 (15% 할인가격으로 결제)
-선택하신 2526 시민영화학교 동영상 강좌 공유 전달 (강의 종료 후)
-선택하신 2526 시민영화학교 프린트용 강의 노트 PDF 제공 (강의 종료 후)
<연간 결제>
22만원 (19% 할인 금액-강의당 4074원)
연간 프리미엄 패스를 하시는 분들의 혜택
1) 2425 영화 인문학강좌 동영상 강좌(52편) 전체 공유 전달
2) 2526 시민영화학교 동영상 강좌(54편) 전체 공유 전달 (강의 종료 후)
3) 2526 시민영화학교 프린트용 강의 노트(54편) PDF 제공 (강의 종료 후)
4) 시민영화제 특별 회원 등록, 영화제 굳즈 전달 등 각종 혜택 계획 (26년 개최예정)
2425 진행한 무료 강좌는 “네이버 밴드” <영화 인문학 강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54편의 월별 프로그램>
2025년 7월 19일 개강
<태국영화의 거장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을 만나다>
《열대병 Tropical Malady 2004》
사랑의 잔상, 짐승의 그림자, 인간 본성을 따라 걷는 신화적 여정
《징후와 세기 Syndromes and a Century 2006》
기억의 병실에서 벌어지는 두 번의 시작, 하나의 기억 – 반복과 변주의 시네마
2025년 8월
<전환기의 할리우드, 저항과 자의식의 아메리칸 뉴 시네마〉
<아메리칸 뉴 시네마>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Bonnie and Clyde 1967 아서 펜》
총성과 청춘 – 반항의 로맨스와 미국 신화의 붕괴
《졸업 The Graduate 1967 마이크 니콜스》
방향을 잃은 세대의 자화상 – 무너진 도덕성과 욕망의 사회
《이지 라이더 Easy Rider 1969 데니스 호퍼》
자유의 속도 – 달리는 자의 고독과 아메리칸 드림의 파편
《대부 The Godfather 1972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피로 새긴 가족 – 권력과 도덕의 그림자 아래
《얼굴들 Faces 1968 존 카사베츠》
거울 없는 방 – 사랑, 소통, 얼굴 그리고 카사베츠
2025년 9월
<여성 명감독 4인의 침묵, 응시, 연대, 발견>
《피아노 1993 제인 캠피언》
말할 수 없는 감정의 언어, 침묵의 피아노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2020 셀린 시아마》
응시와 기억의 불꽃 : 여성의 눈으로 사랑을 그리다
《네네뜨와 보니 1996 클레어 드니》
감각의 자유와 연대 경계를 넘는 몸 – 여성, 성장, 그리고 자매로서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1962 아녜스 바르다》
나는 누구인가를 묻는 오후 - 여성과 자아의 발견
2025년 10월
<작은 시선, 깊은 세계 – 한국 독립영화로 읽는 삶의 결들>
《우리들 2016 윤가은》
어린이의 시선에서 본 고립과 관계의 역학
《한공주 2013 이수진》
상처 입은 존재의 침묵과 사회의 무관심
《벌새 2019 김보라》
청소년기의 고독과 감정의 우주
《남매의 여름밤 2020 윤단비》
가족과 기억, 사라져가는 시간의 미학
2025년 11월
<철학과 영화, 삶을 사유하는 5편의 시선>
《노마드랜드 2020 클로이 자오》
미국 서부를 유랑하는 여성의 삶을 통해 정주하지 않는 존재의 가능성과 탈영토화된 주체
들뢰즈·가타리 – 유목성, 존재의 경계, 틀에 갇히지 않은 삶, 흘러 다니는 존재의 아름다움
《이터널 선샤인 2004 미셀 공드리》
기억 삭제 기술을 배경으로 사랑과 상처, 무의식적 반복 욕망을 시각화
프로이트·라캉 – 무의식과 기억, 지우고 싶은 기억, 잊지 못할 감정 – 마음의 지도 그리기
《엑스 마키나 2014 알렉스 갈런드》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 본질과 주체성의 위기를 묻다.
하이데거·시몽동 – 기술과 인간성, 인간은 기계보다 특별한가? – 기술 속 나를 마주하는 순간
《트루먼 쇼 1998 피터 위어》
현실과 허상의 경계, 미디어 시대의 실재와 자유의 문제를 제기한다.
보드리야르·플라톤 – 시뮬라크르, 진짜 같은 가짜 세상에서, 무엇이 진실일까?
《매그놀리아 1999 폴 토마스 앤더슨》
삶의 우연성, 상처, 책임, 그리고 실존적 결단의 가능성을 탐구.
실존철학 – 내 인생은 내 선택일까? – 우연과 필연 사이에서 길을 찾다
2025년 12월
〈사랑의 언어를 찾아서 – 감정과 관계, 욕망의 미로를 걷다〉
《헤어질 결심 2022 박찬욱》
수사와 욕망이 교차하는 박찬욱감독 정서경작가의 가장 감성적인 세계
《아무르 2012 미하엘 하네케》
고통으로 빚어진 사랑의 본질을 탐구, 사랑은 끝에서 시작된다.
《Her 그녀 2013 스파이크 존즈》
인공지능과 인간 사이에서 피어나는 새로운 감정의 가능성
《I Am Love 2009 루카 구아다니노》
사랑은 감각이다, 나를 되찾는 욕망의 여정
2026년 1월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장르와 실화, 감성과 서사를 넘나드는 현대 영화의 초상>
《살인의 추억 2003 봉준호》
장르와 실화의 결합, 한국형 장르 영화의 지평을 열다.
《박하사탕 2000 이창동 》
8월 광주 부채 의식이 빚어낸 서사 실험
《올드보이 2003 박찬욱》
복수 3부작 그 첫 번째, 미학과 파격으로 박찬욱을 세상에 들어낸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1998 허진호》
한국형 멜로의 서정성과 정서, 개인적 죽음을 다루는 방식
《강원도의 힘 1998 홍상수》
두 개의 서사, 하나의 시간, 가장 작게 그려진 끔찍한 살인, 사랑의 불가해성
2026년 2월
가족의 재구성 : 현대 영화로 읽는 해체와 치유의 서사
《결혼 이야기 Marriage Story 2019 노아 바움백》
이혼의 틈새에서 재편되는 감정과 역할의 균형
《캐빈에 대하여 We Need to Talk About Kevin, 2011 린 램지》
비극 속 어머니의 존재론적 죄책감과 정체성의 질문
《어떤 가족 Shoplifters 2018 고레에다 히로카즈》
생물학을 넘어선 연대와 사랑으로 엮인 따뜻한 가족
《마더 앤 차일드 Mother and Child 2009 로드리고 가르시아》
입양과 상실을 통해 그려진 모성의 본질과 치유
2026년 3월
<같은 얼굴, 다른 사람 – 1인 2역으로 본 영화적 존재의 질문>
《러브레터 Love Letter 1995 이와이 순지》
잃어버린 사랑, 마주한 얼굴– 상실과 회복, 두 시간의 겹침 속에서 되살아나는 감정의 초상
《북촌 방향 The Day He Arrives 2004 홍상수》
반복되는 만남, 흐릿한 경계의 나– 동일한 인물 속 다중 가능성과 변주의 리듬
《아사코 Asako I & II 2018 하마구치 류스케》
같은 얼굴, 사랑의 다른 진실– 외형의 동일성과 본질의 차이에서 피어나는 정체성의 균열
《피닉스 Phoenix 2014 크리스티안 페촐트》
되찾은 얼굴, 되찾지 못한 나– 속임수와 회복, 얼굴을 매개로 한 존재의 재구성
2026년 4월
<임권택 감독의 한국적 미학 –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감정과 존재의 여정>
《길소뜸 1985 임권택》
이산의 상처, 사랑과 뿌리의 부정 – 분단과 상실 속에서 떠도는 감정의 기억
《서편제 1993 임권택》
끊어진 피, 이어지는 소리 – 장인들의 한(恨)과 전통 속에서 울리는 한국인의 심연
《아제 아제 바라아제 1995 임권택》
불교적 사유와 내면의 순례 – 자아의 해탈과 존재의 본질을 향한 여정
《취화선 2002 임권택》
예술과 자아, 창조의 고뇌 – 천재 화가의 삶을 통해 본 예술적 집착과 인간적 갈등
2026년 5월
<정신분석학의 렌즈로 본 영화 – 무의식과 욕망, 자아의 풍경>
《싸이코 Psycho 1960 알프레드 히치콕》
억압된 욕망이 만든 분열된 자아의 공포 – 프로이트적 공포와 이드의 폭발
《블랙 스완 Black Swan 2010 대런 아로노프스키》
완벽에 집착하는 분열된 자아가 그리는 욕망과 파멸의 발레
《페르소나 Persona 1966 잉마르 베르히만》
자아와 타자가 뒤섞인 침묵의 심리극. ‘나’가 ‘너’가 되는 순간
《아이덴티티 Identity 2003 제임스 맨골드》
분열된 자아의 조각들이 만들어낸 연쇄살인의 심리극 – 존재를 향한 질문
《피핑 톰 Peeping Tom 1960 마이클 파웰》
응시의 공포, 카메라로 욕망을 조종하다 - 트라우마와 관음증의 시선 심리학
2026년 6월
<판타지로 그려낸 시간과 공간, 삶의 또 다른 거울>
《미드나잇 인 파리 Midnight in Paris 2011 우디 앨런》
시간의 판타지 – 과거에 대한 동경과 현실의 깨달음, 1920년대 파리로 떠나는 회귀의 상상력
《원더풀 라이프 ワンダフルライフ 1998 고레에다 히로카즈
기억과 생의 판타지 – 죽음을 건너기 전, 저승과 현실 사이, 삶의 본질을 되묻는 공간
《빅 Big 1988 페니 마샬》
성장의 판타지 – 어른이 된 아이, 진정한 성장은 무엇인가?
《어바웃 타임 About Time 2013 리처드 커티스》
시간의 판타지 - 되감기는 시간, 시간 능력을 통해 삶의 소중함을 깨닫는 감성 판타지
2026년 7월
한국 근현대사의 네개의 창 / 분단, 청춘, 노동, 도시
《오발탄》(1961, 유현목)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출발점. 해방 후 혼란과 인간 소외를 직시한 걸작
《바보들의 행진》(1975, 하길종)
1970년대 한국 청춘영화의 혁명. 억압된 시대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자유를 외침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1995, 박광수)
사회 구조와 개인의 윤리 - 분신으로 밝힌 한국 노동운동의 거대한 촛불
《바람 불어 좋은 날》 (1980, 이장호)
1980년대 초 도시화의 민낯을 담은 사회적 리얼리즘.
청계천 철거민, 강남 개발, 서울의 외곽 이주자 등
급변하는 시대의 단면을 섬세하게 포착한 걸작.
이전글 | 화도진도서관 일반자료실 2025년 6월 4주 <웹툰 및 만화> 신간 안내 | 조영근 | |
다음글 | 화도진도서관 일반자료실 2025년 7월 1주 <웹툰 및 만화> 신간 안내 | 조영근 |